김진국의 스포츠산책

[스포츠산책] 월드컵 부심 VAR(Video Assistance Referee)

기사입력 [2018-07-02 09:19]

스포츠에 있어서 심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심판의 판정 하나로 경기의 전체 흐름과 결과가 완전히 바뀔 수도 있기 때문이다. 축구에서도 그 동안 심판 판정에 대한 끊임없는 논란이 지속되어 왔기 때문에 FIFA는 보조 심판인 비디오 판독 제도를 도입하였다. 2014년 브라질 월드컵과 EPL 등에서 골 판정 시비를 없애기 위해 득점 판정에 한해 부분적으로 공식 도입이 된 이 기술은 Goal Line Technology 라고 불린다. 이후 국제축구평의회에서 규칙을 개정하면서 전면 도입이 확정되어 2016년 클럽 월드컵에서 공식 도입되었고, 공식명칭은 비디오 보조 심판의 의미인 VAR(Video Assistance Referee)이다. 비디오 판독 부심은 모든 경기를 화면으로 지켜보면서 주심이 명확하게 잘못된 판단을 했을 때 이를 주심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모든 판정을 판독하는 것이 아니라 명백한 오심에 의한 부분만 알려주고, 이를 결정하는 것은 주심의 몫이다

 

비디오판독 시스템.JPG

2018 러시아 월드컵에서 적용하고 있는 비디오판독 시스템(출처 : FIFA 홈페이지)

 

이후 FIFA 공식 경기에서 비디오 판독 상황은 점점 빈도가 늘어갔고, 실제 평균 판정시간이 12초에 불과해 비디오 판독에 따른 경기시간 지연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켰다. 과거 심판에 대한 항의로 시간을 끌던 것보다 더 정확하고, 신속한 경기 진행이 가능해져 호응을 얻기 시작했다. 월드컵에서 첫 공식 도입은 2017FIFA U-20 월드컵이었다. 비디오 판독을 실시하는 상황은 득점 장면, PK 선언, 퇴장 판정, 그리고 제재 선수 확인(반칙상황이 불분명한 경우) 4가지 장면에 한정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이번 2018 러시아 월드컵에서 성인 월드컵 사상 처음으로 비디오판독 시스템이 적용되었고, 모든 경기에 적용이 되고 있다. 그러나 원래 의도와는 다르게 비디오판독 시스템에 대한 비판과 우려의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일단 구조적인 문제로 인한 문제점을 제기한다. 비디오 판독 자체는 사람보다 더 정확한 판정을 내리는 것에는 이견이 없으나, 비디오 판독을 결정하는 주체가 바로 주심이라는 것이 문제다. 심판이 오심을 할 수 있으나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만든 제도라면 심판이 수용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져 있어야 공정성이 확보되는데, 이런 시스템에서는 온전한 공정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4가지 유형.JPG

VAR을 판정할 수 있는 4가지 상황(출처 : FIFA 홈페이지) 

 

실제 월드컵 본선 무대에서 많은 경기에 비디오 판독이 활용되었지만, 현실적으로도 비판의 목소리가 많은 게 사실이다. 일부 축구 강팀이나 유럽 팀에 유리하게 제도를 실시한다는 것이다. FIFA는 상업적 흥행을 최우선 목표로 하는 조직이다. 전 세계인들이 흥미를 가지고 볼 유럽, 남미의 강팀들의 선전이 지속되어야 여러 방면에서 수익이 많이 창출될 수 있다. 변방의 아시아 또는 아프리카 팀 중에 한두 팀 정도가 16강에 진출하는 것은 작은 자극이 될 수 있지만, 유럽이나 남미의 강호들이 줄줄이 탈락한다면 더 이상의 흥행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런 의심들을 많이 하고 있다. 러시아 월드컵 경기장 12곳에는 33대의 방송 카메라와 2대의 오프사이드 감식 카메라, 골대 뒤 고속 모션 카메라 등 총 37대의 비디오 판독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어 경기장 내에서 벌어지는 모든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또한 비디오 판독 전담 부심도 13명이나 활동하며 비디오 판독을 실시한다. 그래서 비디오 판독의 결과는 공정성이 있어 결과에 대하여 승복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선수나 감독이 요청할 권리가 없고, 주심이 판단하기 애매한 상황이거나 비디오 판독 부심이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주심에게 헤드셋으로 요청을 할 때만 가능하다. 애매한 상황이거나 요청이 있다하더라도 최종 결정은 주심의 몫이다.

 

카메라 위치.JPG

월드컵 경기장 내 설치된 카메라 위치(출처 : FIFA 홈페이지)

 

이번 월드컵 본선 무대에서 가장 논란이 많았던 경기는 포르투갈과 모로코의 경기였다. 모로코가 0-1로 지고 있던 상황에서 후반 34분 코너킥 당시 포르투갈의 수비수 페페의 가슴에 맞은 공이 손에 닿아 명백한 페널트킥 상황이었지만, 주심은 선수들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그대로 경기를 속개시켰다. 전 세계 시청자들은 느린 화면을 통해 명백한 핸들링을 지켜봤지만, 주심도 VAR 부심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경기는 그대로 끝이 났다. 경기가 끝나고 모로코의 노르딘 암라바트는 “VAR이 있다고 하지만 쓰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 불만을 토로하였다. 우리나라 역시 멕시코와 조별 2차전에서 멕시코에게 2번째 골을 허용하는 과정에서 멕시코 선수의 명백한 파울이 있었지만, 주심과 VAR 부심은 그대로 경기를 진행시켰다. 마찬가지로 TV를 통해 전 세계인에게 명백한 반칙이라는 것을 반복해서 보여주었음에도 말이다. 결국 경기 후 대한축구협회는 FIFA에 공식적으로 유감을 표시했지만 결국 경기는 지고 말았다. 이런 사례가 계속 나오면서 제프 블래터 전 FIFA회장 역시 일관성 없는 VAR 제도에 대한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면서 구조적인 문제를 지적하였다.

 

김영권.JPG

대한민국과 독일의 F조 예선 마지막 경기에서 김영권 선수가 골을 넣었지만, 부심은 오프사이드를 선언하여 결국 VAR끝에 골로 인정되었다.(출처 : FIFA 홈페이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FIFA는 심판의 판정 정확도가 99.3%에 달한다면서 역대 월드컵 중 가장 공정한 경기운영을 하고 있다는 자체평가를 내 놓았다.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은 아닌 것 같다. 우리는 축구를 떠나 스포츠의 본질을 생각해 봐야한다. 모든 스포츠는 정해진 규칙에 따라 공정하게 선의의 경쟁을 해야 그 결과에 가치가 있다. 이런 기본적인 본질이 무너지면 더 이상 스포츠로 불릴 수가 없다. FIFA 월드컵처럼 권위 있는 대회에서 누구를 위한 VAR제도를 도입한 것이며,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할 여지는 지금까지 경험을 통해 짐작할 수 있었을 텐데 개선을 하지 않고 적용한 이유가 매우 의심스럽다. 비디오 판독을 도입하고 있는 야구나 배구 등에서도 경기 지연 문제를 최소화 하는 범위 내에서 회수 제한을 두지만, 정해진 규칙 내에서 상대팀 감독이 비디오 판독을 요청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축구도 마찬가지 방식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주심의 권한을 유지하면서 VAR 부심 역시 요청이 아닌 명백한 오심 상황에서는 경기를 멈추고 비디오 판독을 할 수 있는 권한을 공정하게 적용해야 한다. 그리고 상대팀 감독 역시 한 경기에 한번 정도는 비디오 판독을 요청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져야 공정성에 대한 문제가 해결되어 FIFA 월드컵은 스포츠의 본질을 지키는 권위 있는 대회로 지속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비디오 판독이 강팀이나 유럽 팀에 유리하게 적용되고 있다는 의심만으로도 충분히 FIFA는 권위를 상실할 수밖에 없다. 축구팬의 한사람으로서 FIFA에 공정한 VAR제도 개선과 보다 많은 사람들이 합리적인 공감을 얻을 수 있는 공정한 심판의 역할에 대해서도 재고()하길 강력하게 요청한다. (김진국 전문기자/navyjk@daum.net